내 PC에 나스 서버 연결하기, 프로그램 없이 직접 해보기 (네트워크 초보자도 OK!)
개인 PC에서 나스 서버를 활용하고 싶은데, 제공되는 프로그램 없이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한 적 있을 것이다. 보통은 간편하게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연결하지만, 어떤 이유로든 프로그램 없이 직접 네트워크 설정을 해야 할 때가 있다. 이런 경우, 일반 사용자들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다. 마치 네트워크 전문가만 아는 영역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몇 가지 단계를 따라 하면 누구나 쉽게 개인 PC에 나스 서버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제조사의 나스 서버도 마찬가지겠지만, 각 서버마다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있기에 여기서는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려고 한다. 특히 아이피타임 나스 서버는 사용자 수가 많은 것에 비해 관련 정보가 부족한 편이라, 가성비로 나스를 구매한 사용자들에게는 더욱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사용하면서 알게 된 꿀팁들을 공유하는 것이 나스 사용자들의 윈윈 전략이기 때문이다.

자, 이제 본격적으로 설정을 시작해 보자. 먼저 PC의 제어판을 열고 프로그램 및 기능 메뉴를 찾아 클릭한다. 이 화면은 익숙할 것이다. 평소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삭제할 때 자주 방문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프로그램 목록이 나타나면, 왼쪽 메뉴에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버튼을 클릭한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이 기능은 다소 생소할 수 있다. 평소에는 프로그램 삭제를 위해 클리너 프로그램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굳이 이 메뉴에 들어올 일이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이 기능을 자주 활용하게 될 것이다.

나타나는 창을 살펴보면, 네트워크와 관련된 항목들이 많이 보인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기능은 바로 SMB 관련 기능이다. 이 기능을 활성화해야 프로그램 없이 나스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윈도우 홈 버전이라면 SMB 1.0/CIFS 파일 공유 지원 항목 하나만 보일 것이고, 윈도우 프로페셔널 버전이라면 SMB 1.0/CIFS 파일 공유 지원과 SMB 다이렉트 항목 두 가지가 나타난다. 각각의 기능이 있지만, 일단 둘 다 체크해두고 진행하면 된다. 윈도우를 설치할 때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이 있는데, 보통 가정에서는 홈 네트워크 형태로 설치한다. 윈도우 프로 버전도 마찬가지이며, 설치 시 사무실 네트워크 관련 옵션도 함께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약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나스 서버가 IP 주소로 바로 연결되지 않는다면, 바로 이 SMB 기능을 켜줘야 한다. 그래야 윈도우 탐색기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추가하여 나스 서버의 폴더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나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매번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번거로움 없이 IP 주소만으로 나스 서버에 접속하는 것은 꽤 편리하다. 마치 네트워크를 조금 아는 사람처럼 보일 수도 있지 않을까? SMB 관련 항목에 체크를 했다면 확인 버튼을 누르고, 필요한 파일 설치가 완료되면 PC를 재부팅한다.
추가적으로, 해당 PC를 FTP 서버로 활용하고 싶다면 TFTP 클라이언트 기능을 활성화할 수도 있고,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지만 텔넷 클라이언트를 활용하여 다른 장비에 접속하는 기능도 있으니, 필요하다면 함께 활성화해 두는 것도 나쁘지 않다. 네트워크 관리자나 서버 관리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능이지만, 일반 사용자도 알아두면 외부에서 자신의 PC에 접근하여 간단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이 될 수 있다. 특히 고정 IP를 사용하고 있다면 더욱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PC가 재부팅되면 내 PC 또는 내 컴퓨터를 열어본다. 상단 메뉴 또는 왼쪽 탐색 창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옵션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옵션을 클릭한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창이 나타나면, 폴더 입력란에 나스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아이피타임 나스 서버의 경우 \192.168.0.250\폴더명과 같은 형식으로 입력한다. 여기서 192.168.0.250
은 아이피타임 나스 서버의 기본 IP 주소이며, 폴더명
은 나스 서버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폴더의 이름이다. 물론 나스 서버 설정 과정에서 IP 주소를 변경했다면 변경된 IP 주소를 입력해야 한다. 만약 나스 서버의 IP 주소를 정확히 모르겠다면 찾아보기 버튼을 클릭한다.
폴더 찾아보기 창이 나타나면,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아이피타임 나스 서버를 찾아 접속하고자 하는 공유 폴더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만약 나스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계정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자격 증명 기억 옵션을 체크해두면 매번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대부분의 나스 서버 제조사들은 외부에서도 편리하게 나스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자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초보자도 쉽게 외부 접속을 설정할 수 있도록 친절한 안내를 제공한다. 따라서 외부에서의 접속이 주 목적이라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설명서를 참고하여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더 간편할 수 있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방법은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윈도우 자체 기능만으로 나스 서버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외부 접근보다는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편리하게 나스 서버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제 당신도 나스 서버 운영자로서, IP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이 지식을 바탕으로 더욱 편리하게 나스 서버를 활용해 보길 바란다.
safarizone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